IoT인으로서 올인원 로봇 청소기를 하나 들여야 한다는 생각은 꾸준히 가지고 있었습니다.
킹치만 150만원 정도의 하이엔드 모델이 아니면 안되는 눈만 높아진 상태여서 손가락만 빨고 있다가
HA를 만지작 거리다가 Miot Auto로 갑작스럽게 샤오미 활용도가 급상승하면서 자연스럽게 샤오미 제품을 살펴보니
샤오미 미지아 1S B116이 60만원 초반이면서 하이엔드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고 지르게 되었습니다.
장황한 리뷰(https://blog.naver.com/fromzip/223048625923)를 써두긴 했지만 요약 버전으로 간단하게 정리를 해볼게요.
거대한 박스 안에는 스테이션과 본체, 각종 부품들이 들어있는 박스가 함께 들어 있습니다.
진공청소 + 물걸레 + 먼지집진 + 걸레 빨기가 가능한 모델이라 깨끗한 물을 담는 통과 더러운 물을 모으는 통이 스테이션에 들어가 있습니다.
가운데는 전용 세제 모듈을 넣어서 조금 더 깨끗한 바닥 청소가 가능하게 합니다. 전용 세제는 걸래 빨기 용이 아니라 바닥 청소용..
스테이션 중앙에는 더스트백을 넣는 공간이 있습니다.
뒷면에는 아예 직배수 키트를 위한 장치가 되어 있습니다.
마음 같아서는 직배수 세팅을 하고 싶었으나 딱 좋은 포인트를 와이프의 화분들이 차지하고 있어서 포기해야 하는 상황이군요.
플라스틱 요철 부위에 걸레를 돌려가며 세척하는 방식이더군요. 저기가 걸레 빨래터.
LSD센서에 카메라까지 장착되어 있어서 벽에 헤딩하는 빈도가 큰폭으로 줄어들었습니다.
에코백스 옴니는 청소할 때 카메라로 청소하는 모습을 구경할 수 있는데 얘는 그냥 AI 센서로만 활용합니다.
뭐.. 어쩌면 진핑이 형한테 영상 보내고 있을지 모르겠습니다만, 내 몰골을 본 사람이 손해일거라.. ^^
먼지 집진이 가능한게 요런 구조 때문이더군요.
예전부터 궁금하긴 했는데 열심히 찾아보지는 않았습니다. (어차피 내꺼도 아닌거 알아서 뭐해..)
다른 박스에는 전용세제 카트리지와 전원 케이블, 물걸레 등이 들어있습니다.
그냥 붙이면 끝
지마켓 판매자가 친절하게 돼지코를 하나 넣어서 보내줬는데 코드가 중국형이라 쓸모가 없더군요.
직구를 위해 구비해두었던 중국 직구 대응용 돼지코를 하나 출동시켰습니다.
일단 로봇 청소기 세팅은 완료
물도 잘 채워넣고 시운전을 시도합니다.
카메라가 있어서 그런지 지도 만들기가 제법 빠르게 완료 되었고 생각보다 시끄럽지 않게 청소를 잘 해주더군요.
청소가 끝나고 오수통을 확인하니 20평대 아파트라 그런지 오수 양이 얼마 되지 않습니다.
대략 세 번 청소하고 한 번 비워주면 될 각이긴 한데, 성격상 매일 갈아줄듯..
올인원 로봇 청소기라고 해도 관리해줘야 하는 영역은 있습니다.
걸레 빨래터와 그 근처들은 손으로 직접 관리하면서 깨끗하게 유지해줘야 할 것 같습니다.
중증 IoT 환자이므로 어딘가에 연동을 해주지 않으면 암에 걸립니다.
원래는 아카라 플랫폼에 로보락이나 에코백스 제품을 연동해서 쓸 생각이었는데 가격 때문에 망설이고 있었거든요.
최근 샤오미의 재발견으로 HA를 통한 연동 범위가 넓어진 덕분에 이 제품도 영입할 수 있었습니다.
Miot auto로 연동하려고 했는데, Dreame로 연동하는게 더 좋다는 이야기를 들어서 Dreame 인테그레이션을 받아서 연동합니다.
앱에서 세팅할 수 있는 거의 모든 것이 자동화로 처리할 수 있는 케파로 죄다 올라옵니다 ㄷㄷ
자동화를 촘촘하게 짜면 디테일한 운영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만 당장 아이디어가 떠오르지는 않더군요.
저희 집은 모든 공간에 재실 센서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람이 없을 때를 조건으로 잡을 수 있습니다.
매일 오전 10시에 자동 청소를 시작하되, 집에 사람이 없을 때만 작동하도록 잡았습니다.
굳이 이렇게 안해도 평일과 주말 자동화를 시간대로 잡아놔도 되긴 합니다만..
이렇게 자동화를 걸어두지 않으면 안되는 중증질환자라..;
하루 써본 주제에 장단점을 적어보자면 이렇습니다.
장점
1. 60만원 초반의 미칠듯한 가성비
2. 이 가격인데 하이엔드의 모든 기능을 다 품고 있음 (심지어 카펫에서 걸레 들어주는 것은 하이엔드 모델에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3. HA 연동으로 자동화 구현이 자유롭고 거의 모든 케파를 자동화로 처리할 수 있음
4. LSD만 있는 제품에 비해 정확한 장애물 회피 가능
5. 대놓고 직배수 키트를 지원하는 제품 구조
단점
없는 것 같은데 굳이 꼽아보면..
1. 누수가 발생하는 초기 불량 사례가 있어서 뽑기운이 안좋으면 고생할 수 있음
2. 한국어 음성 미지원 (한국어 언어팩을 넣는 방법이 있는데 TTS 사용에 대한 법적 문제 때문에 사라진 듯한 느낌)
사실 가격이 모든 것을 용서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 같습니다.
하이엔드 로청의 절반 가격으로 이 정도 성능을 얻을 수 있다니 놀라울 따름입니다.
초기불량만 아니면 참 좋을텐데 제 전자제품 구입 경험상 항상 불량당첨...인 경우가 많아서 고민됩니다.
음성은 https://vacuum.mindsolo.net/ 에 한국어 음성팩 등록되어 있어요. 번역기 켜고 하시면 됩니다..
근데 직배수킷 설치하시면 편함의 정도가 또 달라집니다. 물 사용량(교환) 부담 없이 막 시킬 수 있으면 정말 편해요..
기본 호스 10M 정도 되고, 배수를 펌프로 하는 거라 기울기 상관없고, 급수/배수/컨트롤박스 전원선 셋다 사각몰드2호에 딱 맞게 들어가서 색상 맞는걸로 잘 설치하면 그리 거슬리지도 않으니 설치하는 쪽으로 잘 궁리해보세요..
저도 그럼에도 설치에 한 표 올립니다
화분지역도 청소 가능하게 스텐드를 구비하시어 화분을 모두 올리면, 청소영역도 넓어지고(깨끗해지고) 호스도 설치가능하여 삶의 편의성이 증대되겠습니다
실리콘이 기본 솔브러쉬 보다 청소능력이 떨어진다는 이야기도 있는데, 저는 못 느꼈습니다.
https://smartstore.naver.com/erzain/products/6929873733
알리에 위 사이트 보다 제법 싸게 올라와있는 세트는 설명을 잘 읽어보면 커버는 정품이지만 브러쉬는 호환품입니다.
올해 와이파이님께 들은 최고의 칭찬을 들었습니다
10년된 LG 로보킹은 청소후 찜찜했는데 이놈은 돌릴수록 마루바닥 광을 내주는 기분이랄까요?
극강의 가성비라 생각됩니다
이 가격에 이런 기능이 가능하다니
놀라며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나와 기준.. 579000까지 내려갔네요 흑..
이 판매자가 가격이 좀 왔다갔다 해서, 행사할 때는 최저가에 맞춰지지만 지금은 어째 많이 비싼 거 같네요. -_-
자동세척 & 건조, 물걸레 리프팅, 사물인식 등등
다만 초기 불량 이슈도 있고 AS 불가라 함부로 주변에 추천은 못하겠더라구요
그리고 하나 불만인 거는 카페트 지나갈 때 너무 이상한 경로로 청소를 해서 청소 시간이 많이 오래 걸리더라구요.
그거 말고는 진짜 현존 가성비 끝판왕 청소기 입니다 ㅎㅎ
아니면 먼지 청소 먼저하고 물걸레질 하는 건가요?
1세대 로청 거금들여 대충 5년도 더 넘게 방치중인데
이제 새로 사봐야 할 시기인지...
전 양품인듯 합니다. 하루에 두세번씩 돌립니다.
HA라는거랑 Dreame 인테그레이션이 생소한데 혹시 좀 더 자세히 부탁드려도 되나요? 저도 집에서 구글홈 미니로 음성을 자주 쓰는편이라 연동해서 써보고 싶네요.
https://blog.naver.com/fromzip/222689088632
몇개월만 사용하면 베터리 성능이 ㅜㅜ
3-40만원대 로봇 청소기도 기본 성능은 100만원짜리 못지 않게 좋아요
다만 절대 청소기는 직구 안사겠다는 다짐이 생겼죠
현재 네스트허브로 그냥 간단하게 쓰고 있는데
시놀이나 NUC에 H A 를 올렸을 때의 장점이 뭔가요?
이 글을 보고 네이버 카페에도 가입해봤는데
어떤 특장점이 있는지 궁금하네요
'그냥 앱으로 하면 되지 않나?'
'음성으로 해도 되던데?'
에서 만족하면 굳이 다른 플랫폼을 고민할 필요가 없지만 조금 더 근사한 미래를 살고 싶은 욕구가 있다면 해 볼만한 일들입니다. ㅎ
일단 깔아서 현재 쓰는 것들
pc켜기 pc끄기
블라인드 올리기 내리기
ir리모컨으로 티비, 에어컨 켜고끄기
정도만 해보려고
시놀로지 도커로 HA 올려봤는데
어떻게 하는지 1도 모르겠어서 그냥
다시 내렸습니다...
실리콘 브러쉬는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오히려 고양이털은 기본 브러쉬가 더 잘 빨아드리는것 같아요.
https://a.aliexpress.com/_msE3r7cAliExpress
X1 쓰고 있는데 두툼하면 사볼까 합니다. 정보 감사드려요.
저도 1,2 세대 3~5년 굴리는데 결국 고장나는건 lsd센서쪽 모터하나만 간거 같네요 -.-
요번 로청도 잘 써봐야겠어요
양품을 받으신거 축하드립니다~
- 집을 비우고 5분후 하루 한번만 자동 청소 (수동으로 작동한 적이 있다면 무시)
- 매주 월/금은 물걸레 청소 나머지 날짜는 진공청소만
- 청소중 사람이 있으면 표준모드, 만약 TV가 켜져있다면 무음모드로 작동
- 청소 완료 후 유지관리나 소모품이 적게 남으면 알림
왜 이걸 이제 샀나 싶어요.
HA + KOCOM + MIOT + DREAME등
연결안되면 이제 그 가전은 후보에서 제외입니다ㅋ
이 글보니 뭐든 신상이 최고네요.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