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에 집 화장실 양변기 깨져서 교체했는데 저 모습을 보니 큰일났네... 생각부터 듭니다.
IP 116.♡.122.32
08-06
2022-08-06 08:24:21
·
뭔가 사정이 있었을것도 같긴 한데 이걸 말도 안하고 그냥 시공했다는게 도저히 이해가 안되네요 저렇게 하기도 힘들었을건데요
joo720
IP 210.♡.59.96
08-06
2022-08-06 08:47:13
·
800인대 타일 철거도 안하고 덧방 했다고요?
타일 철거 안하면 200도 안해요
IP 14.♡.40.91
08-06
2022-08-06 09:02:45
·
@joo720님 싱크대도 했나봐요. ㄷ ㄷ ㄷ
IP 220.♡.110.41
08-06
2022-08-06 09:07:25
·
인테리어 하는 사람 입니다
저렇게 하는 거 일생에서 처음 봅니다ㅎㅎ 부분적으로만 사진이 나와서 추측해볼 수 없긴 한데 간혹 빌라나 주택에 똥배관 위치가 요상할때가 있긴 한데 보통 그럴때 편심 후렌지를 쓰거나 아예 바닥 파서 배관을 이동시키고 방수를 새로 치거나 해서 덧방할 경우 기존타일에서 배관 중앙까지 미니멈 30전이 나와야 양변기 시공이 가능합니다 32전이면 아주 좋고요
그냥 제 생각엔 배관 위치도 이상한데 실력도 없는 데다 설비 귀찮아서 변기 먼저 앉히고 타일 기공한테 따내라고 한거 아닌가 싶으네요 자기가 따내는 거 아니니까...
욕실공사 노방하는 데 이런 거 진짜 첨 봅니다 시공전 설계와 기나긴 상담 공방전이 필요한 이유지요
어쩌면 현장방문 없이 그냥 250이요 했다가 돈 더 달라면 안줄 거 같으니까 지가 손해 보긴 싫고 그냥 되는 방향으로 진행했을 수도 있을 거 같네요..
IP 117.♡.3.30
08-06
2022-08-06 10:19:45
·
잔금을 덥석 치르면 안되는 이유죠.ㄷ
LeroyJennkins
IP 116.♡.101.141
08-06
2022-08-06 10:28:53
·
저렇게 하는게 더 어렵겠네요 ㄷㄷ 아무리 인테리어비 올랐다지만 화장실 싱크대 정도에 800이면 그냥 대기업에서 해도 됐을건데..
dgntr
IP 118.♡.191.197
08-06
2022-08-06 10:48:14
·
사진으로 봐도 변기가 짧은 타입이 아니에요 앞뒤 길이가 1. 집주인과 논의를 했었어야 했고 2. 논의하지 않을꺼라면, 앞뒤가 짧은 변기를 썼어도 되었을 것 같아요.
1,2번을 둘 다 지키지 않고, 그냥 본인 가지고 있는거 또는 원래 알던거 사용하려고 하다 보니 이 사단이 난거죠. 인테리어 일을 못하는게 아니고 그냥 일을 못하는거죠
상상이상이네요.ㄷㄷ
이미 타일 덧붙임한 상태라 다음 시공에는 덧붙임한 타일과 아래쪽 타일까지 모두 제거하고 시공해야하기 때문에 공사비도 더 비싸집니다.
배꼽식으로 처리하거나 작은 공간에 쓰는 수조없는 양변기도 있습니다..문을 포켓도어로 시공하는 방법도 있구요.
저걸 어떻게 보수하라고..비용도 비싸네요.
위쪽만 뜯는다고 해결되지 않습니다.
https://www.harborfreight.com/3-58-in-diamond-grit-half-moon-cutting-blade-for-oscillating-multi-tools-64967.html
저렇게 하기도 힘들었을건데요
타일 철거 안하면 200도 안해요
저렇게 하는 거 일생에서 처음 봅니다ㅎㅎ
부분적으로만 사진이 나와서 추측해볼 수 없긴 한데
간혹 빌라나 주택에 똥배관 위치가 요상할때가 있긴 한데 보통 그럴때 편심 후렌지를 쓰거나 아예 바닥 파서 배관을 이동시키고 방수를 새로 치거나 해서 덧방할 경우 기존타일에서 배관 중앙까지 미니멈 30전이 나와야 양변기 시공이 가능합니다 32전이면 아주 좋고요
그냥 제 생각엔 배관 위치도 이상한데 실력도 없는 데다 설비 귀찮아서 변기 먼저 앉히고 타일 기공한테 따내라고 한거 아닌가 싶으네요 자기가 따내는 거 아니니까...
욕실공사 노방하는 데 이런 거 진짜 첨 봅니다
시공전 설계와 기나긴 상담 공방전이 필요한 이유지요
어쩌면 현장방문 없이 그냥 250이요 했다가
돈 더 달라면 안줄 거 같으니까 지가 손해 보긴 싫고
그냥 되는 방향으로 진행했을 수도 있을 거 같네요..
아무리 인테리어비 올랐다지만 화장실 싱크대 정도에 800이면 그냥 대기업에서 해도 됐을건데..
1. 집주인과 논의를 했었어야 했고
2. 논의하지 않을꺼라면, 앞뒤가 짧은 변기를 썼어도 되었을 것 같아요.
1,2번을 둘 다 지키지 않고, 그냥 본인 가지고 있는거 또는 원래 알던거 사용하려고 하다 보니 이 사단이 난거죠. 인테리어 일을 못하는게 아니고 그냥 일을 못하는거죠
문이 안열려서 저렇게 마무리한 경우.
2. 타일시공응 먼저 하고 변기를 앉혀야하는데
순서가 뒤바뀐 경우.
아마 2번같네요.
집주인뿐만 아니라 인테리어 맡은 사람도
그냥 하청주고 신경안쓰면, 결국 저리됩니다.
일 시켜놨는데 사장이라는 업자들도 또 밑에 하청주는 경우가 빈번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