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흥미로운 부분이라 ADHD 2.0를 읽다가 웹 서치를 해 봤습니다. 일반인들의 뇌는 Task Positive Network (TPN)와 Default Mode Network가 번갈아 가면서 스위칭이 되는 데에 반해서, ADHD 뇌는 TPN과 DMN이 동시에 활성화 돼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어떤 태스크를 시행하는 중에도 계속해서 DMN이 개입하며 집중력을 떨어뜨리는 것이라 하네요. 멍때리기, 몽상, 부정적인 생각이 껴들 때 마다 화장실을 간다던지, 물을 마신다던지, 샤워를 하는 식으로 DMN이 활성화 될 때 마다 그것을 스킵하는 행동을 통해 TPN을 유지시켜 주는 노력을 하는 것을 저자들은 강력하게 추천하고 있습니다.
AlanShore
IP 39.♡.249.98
05-09
2023-05-09 23:18:48
·
그렇죠. 그런데 저게 밝혀진지도 얼마되지도 않았어요. 생활속에서 저런거 끊임없이 실천하는 ADHD인들은 아마 거의 없을겁니다. 그래서 약이 필요한 것이죠.
SpaceDust
IP 68.♡.134.211
05-10
2023-05-10 00:48:38
·
네 ADHD 2.0 출판 연도가 2021년이고 DMN 관련 레퍼런스도 찾아보니 2014년입니다.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이미지 최대 업로드 용량 15 MB
업로드 가능 확장자 jpg,gif,png,jpeg
지나치게 큰 이미지의 크기는 조정될 수 있습니다.
아주 흥미로운 부분이라 ADHD 2.0를 읽다가 웹 서치를 해 봤습니다.
일반인들의 뇌는 Task Positive Network (TPN)와 Default Mode Network가 번갈아 가면서 스위칭이 되는 데에 반해서, ADHD 뇌는 TPN과 DMN이 동시에 활성화 돼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어떤 태스크를 시행하는 중에도 계속해서 DMN이 개입하며 집중력을 떨어뜨리는 것이라 하네요. 멍때리기, 몽상, 부정적인 생각이 껴들 때 마다 화장실을 간다던지, 물을 마신다던지, 샤워를 하는 식으로 DMN이 활성화 될 때 마다 그것을 스킵하는 행동을 통해 TPN을 유지시켜 주는 노력을 하는 것을 저자들은 강력하게 추천하고 있습니다.